강남뇨자 9차원의 관측지는 전라남도 여수시. 19시 퇴근 후 부랴부랴 터미널로 이동하여 맥도날드 빅맥 쳐묵쳐묵, 루엘 잡지 속독하며 여수 도착. 돗자리 깔고 누워 가져간 DSLR로 ISO 1600, 노출 30초로 맞춰놓고 계속 셔터를 눌러댔다. 처음에 쓕쓕 유성이 지나가는 곳 따라 카메라 방향을 바꿔봤더니, 평생을 찍어도 실패만 할 것 같아 카세오페이아자리를 아랫쪽에 두고 카메라를 고정하고 촬영했다. 영혼없이(?) 셔터만 눌러대서, 잘 찍혔나 안찍혔나 확인을 안한 탓에, 시간이 지나 날이 조금씩 밝아옴에도 불구하고 계속 같은 설정을 유지한 탓에 마지막 사진들은 하나같이 그저 검을 뿐이다. 수없이 많이 찍은 사진 중 유성이 찍힌 사진은 단 하나. 그리고 쓸데없이 지나간 비행기 한 놈 이 사진은 비행기가 지..
식(eclipse)란, 한 천체가 다른 천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가려지는 천문현상을 말한다. 지구에서는 지구와, 태양, 달이 일직선 상에 놓일 때 일식과 월식이 일어나게 된다. 일식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초승달(new moon)이 위치할 때(태양-달-지구) 태양빛이 지구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어나고, 월식은 보름달(full moon)이 지구의 그림자를 지나면서(태양-지구-달) 지구에서 볼 때 달의 밝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달의 공전궤도가 지구의 것에 5도 기울어져 있기에 초승달/보름달일 때마다 매번 일식과 월식을 보지는 못한다. 지구에서는 매년 최소 4번에서 최대 7번까지 식이 일어날 수 있다고 한다. 일식의 종류로는 개기일식, 부분일식, 금환일식이 있다. 달의 그림자는 ..
매년 비슷한 시기에 유성이 증가된 것이 유성우이다 (당연하지!!). 혜성이 태양을 공존하면서 그 궤도 상에 파편들을 남겨놓고, 지구가 이를 통과함에 따라 우리는 유성우를 보게 되는 것이다. 유성우는 보통 특정 별자리 근처에서 보여지는 경우가 많아, 별자리의 이름이 붙는다. 가령, 사자자리 유성우는 사자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사자자리 유성우는 33년 주기로 공전하는 Tempel-Tuttle이라는 혜성의 궤도에 남아있는 파편들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파편들은 수세기동안 궤도 내에 밀집되어 존재할 수 있다고 한다. 지구가 이 파편들에 얼마나 근접하는가에 따라 우리가 보는 유성우의 양이 결정되는 것이고, 이번 11월 17일~18일 밤 00:10 쯤에 만나게 될 것은 1102, 1466, 1533년에 혜성이 남기..
게 (Cancer[kǽnsər], the Crab) 까마귀 (Corvus[kɔ́ːrvəs], the Crow) 머리털 (Coma Berenices[-bèrənáisiːz], Berenice's hair) 목동 (Bootes[bouóutiːz], the Herdsman) 바다뱀 (Hydra[háidrə], the Water snake) 북쪽왕관 (Corona Borealis[-bɔ́ːriǽlis], the Northern crown) 사냥개 (Canes Venatici, the Hunting dogs) 사자 (Leo[líːou], the Lion) 살쾡이 (Lynx[líŋks], the Lynx) 육분의 (Sextans[sékstənz], the Sextant) 작은사자 (Leo minor, the Les..
제가 자주 드나드는 잡지 인터넷 사이트에서 읽은 내용을 바탕으로 글을 올려볼까 합니다. 우선, 원문을 보시려면 클릭하시면 되구요 혜성 C2007/ N3(Lulin)은 2007년도에 발견되었고, 2월 말쯤엔 쌍안경이나 육안으로도 관측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하네요. 1. 1월1일부터 2월14일까지 혜성의 움직임을 보면 (pdf 다운로드 ) 위와 같구요, 2. 2월13일부터 3월2일까지 혜성의 움직임은 (pdf 다운로드 ) 위와 같다네요... 1월달이 어땠는지에 대해서도 본문 기사에는 쭈~욱 써주었지만, 이미 1월은 다 지나가고 있을 뿐이고... 하여 2월달에는 어떻게 될지 살펴보기로 할게요. 2월달에는 그 밝기도 최대가 되고, 이동 속도도 최고가 된다는군요.. 1. 2월5~6일 밤, 천칭자리(Li..
지역을 맞춰주면 프로그램을 돌리는 시간의 별자리를 알 수 있어요. 별자리 이름만 따로 보는 경우가 있고, 별들을 연결해서도 볼 수 있고, 그림까지 같이 봐서 별자리를 쉽게 공부할 수도 있었어요. 그 외 행성들도 나타내볼 수 있고 가끔 유성이 떨어지기도 한다는...ㅋㅋ 저는 이걸로 별자리 공부를 좀 해보았었어요, 서울엔..별 보면 반가울 정도라..ㅎㅎ 오늘 야간스키를 타고 돌아오는 길에 보조석에 앉아서 목을 꺾고 하늘을 보았는데 별이 정말! 최고로 많았었어요, 이렇게 많은 별은 거의 처음일 듯. 나중에, 시간내서 별 보러 다녀보고 싶네요.. 다운받으러 고고싱
아주 오래 전 이런 걸 찾아서 한동안 잘 이용했네요. http://skychart.skytonight.com/observing/skychart/skychartobloc.asp 이런데로 들어가면, 이런 화면이 뜨면 City에는 사는 곳 (예. Kwangju), country에는 우리나라. Time zone에는 우리나라는 서울밖에 없는 것 같고.. 이런 화면이 뜨면 하늘을 보고자 하는 시간을 맞춰주면 되겠네요. 저는 1월 11일 새벽 3시로 맞추어보려고 했습니다^^ create pdf라는 걸 클릭하면 , pdf로 지정한 날짜,시간의 별자리들이 두둥. 떠버린다죠. facing east : 동쪽을 향해 서서 하늘을 봤을 때 보이는 별자리 facing west : 서쪽을 향해 섰을 때의 하늘 모습입니다. 달도 보..
- Total
- Today
- Yesterday
- 강아지 키우기
- 윌리엄3세
- 레벨1
- 스키
- 파리 여행
- 이루마
- yiruma
- 산부인과
- 스키 강좌 동영상
- 홈베이킹
- 독서
- 바이올린
- 바네사 메이
- 스키 동영상
- 피아노 연주
- 파이
- 요알못의 베이킹 도전기
- 프랑스 여행
- 머핀
- 난 아마 안될거야
- USMLE study plan
- 컵케익
- 상처가 꽃이 되는 순서
- 베이킹
- 이성복
- 뱃지테스트
- 쿠키
- 시
- 그 여름의 끝
- 요알못의 요리 도전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